본문 바로가기

제헌절 특사 이화영 조국 사면 서명운동 [내란종식 특별사면복권]

하모니노트 2025. 6. 16.

7월 17일 제헌절, 이재명 대통령의 첫 특별사면 복권 발표 가능성이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. 특히 이화영 전 경기도 부지사,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 정치 사법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[내란종식 특별사면복권] 서명운동이 현재 온라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.

 

서명 마감 기한이 임박한 만큼, 민주주의 회복, 국민통합, 사법 정의의 출발점이 될 이 캠페인에 지금 바로 동참해주십시오.

이 글에서는 제헌절 특사의 법적 배경, 조국·이화영 사면 논란의 진실, 서명운동의 의미 및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‘서명 방법’까지 전부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.

 

📢시간이 없습니다. 한달안에 마감이 될 수 있으니 서둘러 참여해주세요!

 

 

 

 


🖊️ 서명운동 참여 방법 안내

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'국민통합 내란종식 특별사면복권 요청 서명운동'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? 아래 안내를 따라주시면 됩니다.

 

📌 참여 절차 요약

 

1. 서명 양식 접속

시민모임이 제공하는 온라인 동의 서명 홈페이지 사이트(👈여기)에 접속해주세요!

 

 

 

2. 기본 정보 입력

성명

전화번호 (숫자만 입력)

주소 (동까지 정확히 기입)

이메일 주소 (선택사항)

 

 

3. 개인정보 동의 항목 체크

[서명 동의 여부] 항목에서 반드시 “동의합니다”를 선택해야 참여 가능

[개인정보 수집 및 제3자 제공] 동의도 필수입니다.

서명 정보는 대통령실 등 관련 기관에 전달될 수 있으며, 1년 간 보관됩니다.

 

4. 제출 완료 선택하기

맨 아래의 ‘제출’ 을 선택하면 서명이 완료됩니다.

‘서명 동의 제출 완료하기!’라는 문구를 꼭 확인하세요.

 

 

📝 주의 사항

  • 본 서명은 실명 참여가 원칙이며, 허위 정보 입력 시 무효 처리될 수 있습니다.
  • 주소는 주민등록상 주소(동 단위까지) 기입해야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.
  • 서명 참여는 7월 17일 제헌절 이전까지 집중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.

📣 참여의 의미

  • 여러분의 서명은 단순한 클릭이 아닙니다.
    정치 검찰의 피해자, 생계형 사범, 노동자 사법 피해자를 위한
    진정한 국민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의 목소리가 됩니다.

 

✅ 요약 카드

항목 내용
대상자 국민 누구나 가능
입력 항목 성명, 전화번호, 주소, 이메일(선택)
필수 동의 서명 동의, 개인정보 수집 및 제3자 제공 동의
목적 특별사면 복권 요청을 위한 시민 연대
마감 시기 제헌절(7월 17일) 전까지 가능

 

💬 여러분의 서명이 사회를 바꾸는 첫걸음입니다. 이 글을 공유하고, 더 많은 사람들이 서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!

 

🔍 서명운동의 등장 배경 분석

✅ 1. 정치적 배경: 정권 교체와 검찰 개혁의 과제

  • 2025년,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과 취임은 검찰 권력 개혁과 사회 통합이라는 상징적인 기대를 품고 출발했습니다.
  • 이전 윤석열 정부 시기, 검찰은 정치인을 상대로 강압 수사, 조작 의혹, 언론 플레이 등을 통해 사법 통치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.
  • 이에 따라 “검찰 독재”에 피해를 본 인물들에 대한 명예 회복과, 국민 통합의 상징적 조치로 특별사면 복권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.

 

✅ 2. 법적 배경: 제헌절 특사와 대통령의 사면권

  • 7월 17일 제헌절은 대한민국 헌법 제정을 기념하는 날로, 전통적으로 대통령의 특별사면이 자주 시행되는 날입니다.
  • 대한민국 헌법 제79조에 따라 대통령은 사면권을 가질 수 있으며, 국민 통합이나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 권한이 행사됩니다.
  • 이에 따라 시민사회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국민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첫 조치로 ‘특별사면 복권’을 요청하고 있습니다.

 

✅ 3. 사회적 배경: 시민사회와 진보 진영의 집단행동

  • ‘21대 대통령 취임 기념 국민통합 내란종식 특별사면복권 요청 시민모임’은 YMCA, 민예총, 성공회, 자유언론실천재단, 사회민주당 등 시민사회 및 진보 진영의 대표적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 집단입니다.
  • 이들은 사면 대상자를 단순한 정치인으로 보지 않고, 검찰 권력에 의해 희생된 민주주의 피해자로 규정합니다.
  • 특히 생계형 민생사범, 비정규직 노동자, 정치적 사법 피해자들을 포함한 보다 넓은 범주의 국민에 대해 사면·복권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.

 

✅ 4. 핵심 인물 및 사례 분석

🔸 이화영 전 부지사

  •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 관련해 뇌물 수수와 불법 정치자금 혐의로 유죄 확정.
  • 사면을 요구한 글이 정치권에선 "협박"으로 해석되기도 했지만, 실질적으로는 검찰의 조작 수사와 인권 침해에 대한 비판과 개혁 요구를 담은 내용임.
  • 일부 언론과 정치권의 “셀프 사면 요구” 주장은 사실 왜곡이라는 반박이 시민사회와 진보 진영에서 나옴.

🔸 조국 전 장관

  • 자녀 입시비리 및 사모펀드 관련 혐의로 수감 중.
  • 여권에선 “정치 보복의 대표적 사례”로 보고 있으며, 이 또한 사법 정의 회복의 상징적 인물로 간주됨.

🔸 송영길 전 대표

  •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보석 요청 중. 일부 시민 단체 및 여권 인사들이 석방을 요구.

 

✅ 5. 서명운동의 본질적 목적

이 서명운동은 단순히 특정 인물의 석방만을 목표로 하지 않습니다. 보다 본질적인 사회 변화와 개혁의 시작점으로 자리매김하려 합니다.

 

 

  • 🔹 정치 검찰의 조작 수사에 대한 심판 요구
  • 🔹 억울한 사법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
  • 🔹 생계형 민생 사범에 대한 연대적 사면 요청
  • 🔹 검찰 권력의 무분별한 확장에 대한 견제
  • 🔹 국민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실질적 조치 촉구

 

🧾 결론 요약

항목 내용
🔸 주최 주체

21대 대통령 취임 기념

특별사면복권 시민모임

🔸 시기 2025년 7월 17일
제헌절 특사 발표 요청
🔸 배경 정권 교체, 검찰 개혁,
사법 피해자 복권 요청
🔸 핵심 인물 조국, 이화영, 송영길 등
🔸 목적 국민통합, 검찰 개혁,
민주주의 회복
🔸 논란 사면=셀프, 협박 프레임?
→ 가짜뉴스 가능성 제기
🔸 주요 요구 생계형 민생사범 포함
전면적 특별사면 복권

 

📢 지금 우리가 외면하면, 내일도 정의는 침묵할지 모릅니다. 당신의 서명이 억울한 이들의 목소리가 되고, 국민통합의 시작이 됩니다. 늦기 전에, 바로 지금 함께해 주세요.

댓글